728x90
    반응형

    시래기는 무청을 새끼줄에 엮어 겨울 동안 건조하여 오랫동안 삶아서 찬물에 여러 번 헹구어 각종 요리로  섭취하고 있습니다. 부드럽고 구수한 풍미로 대중에게 인기가 많은 향토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래기의 효능과 부작용은 어떠한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한 시래기는 각종 질병과 바이러스에 노출된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면역력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섭취하여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웰빙식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래기의 건조과정에서 풍부해지는 식이섬유가 위장의 소화를 촉진하고 포만감을 쉽게 느끼게 하여 변비와 비만예방에 도움을 주어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고, 당조절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시래기는 '베타카로틴, 철분,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베타카로틴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혈관 내에 노폐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려 동맥경화를 억제합니다. 무보다 시래기가 철분이 4배가량 많아 빈혈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칼슘이 풍부하여 골다공증과 같은 뼈 질환 예방과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도움을 줍니다.

     

    시래기에 함유된 '베타카로틴, 글로코시놀레이트'성분이 암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을 합니다. 또한, 시래기는 눈 건강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A'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망막에 붉은빛을 감지하는 로돕신의 재합성을 촉진해 눈의 피로를 도움을 주고 시력보호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베타카로틴'성분은 체내에 흡수되면서 비타민A로 변환되어 백내장, 안구건조증 등 눈 질환에 도움을 줍니다.

     

    시래기는 '아미노산'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간기능을 회복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한 음주나 스트레스로 인하여 망가진 간을 해독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주기적으로 시래기를 요리하여 섭취하면 간 기능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시래기 삶을때에는 따뜻한 물에 한두 시간 불려됬다가 시래기가 푹 잠기게 물 붓고 30분정도 삶아 줍니다. 삶을 때 설탕이나 베이킹소다를 넣어주면 부드럽게 삶을 있다고 합니다. 30분 뒤에 잘 삶아졌는가 손으로 눌러서 확인을 해봅니다. 굵은 줄기가 눌렸을 때 잘 눌러지면 잘 삶겼는 것입니다. 찬물에 여러 번 깨끗하게 씻어줍니다. 껍질을 벗기면 식감이 한결 부드러워집니다. 

     

    시래기를 할용한 요리를 알아보면, 정월대보름에 많이 먹는 시래기나물볶음은 고기를 다져서 기름과 채소, 양념을 넣어 볶아 줍니다. 시래기를 잘게 썰어서 시래기죽을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시래기 찌게, 시래깃국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시래기의 부작용은 당뇨합병증으로 신장기능이 약한 분들은 시래기의 인성분이 칼슘을 밖으로 배출시켜 골다공증 위험이 있으니 과다 섭취를 피해 주시길 권합니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기능이 약하신 분들은 소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니 무와 같이 드리길 바랍니다.

     

    위와 같이 시래기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글을 참고하여 환절기에 따뜻한 시래기 요리로 건강유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